2018. 11. 13.

미국 대학은 합격이 끝이 아닌데...

한국에서 대학 실패 후 자신감을 완전히 상실했던 상태에서 미국 대학 입학 전 여름방학 때 대학교 물리교재를 빌려서 공부를 혼자 했다. 아침에 숙소를 나와 대학교 학생회관(Student Union)에 가서 시간 나는데로 공부를 했다. 한국에서의 대학 실패에다가 고등학교 때 화학/생물만 했고, 또 미국은 공대도 다 주관식 시험이라 겁을 잔뜩 먹고 방학 때 공부를 했다. 아니나 다를까, 물리 첫 중간고사를 봤는데 전부 주관식였고 답을 차근차근 써갔지만 워낙 객관식에 익숙해져있다 보니 이게 맞는 건지 틀린 건지 자신이 없었다. 솔직히 시험 망친 줄 알았다. 하지만, 결과는 약 200명 중 최고점인 126점을 받았다. 평균은 60점였다. 사소한 실수(단위를 빼먹었거나 설명 부족으로)로 4점이 깎였었다.

학기말 시험이 끝나고 겨울방학 들어가기 전에 거의 모든 학생이 떠난 한산한 기숙사에서 TA한테 전화를 건 게 아직도 기억이 난다. Brad라는 멀대같이 큰 TA에게 전화를 해서 점수를 물어봤더니 대답이, "Kew, you blew it! (너 시험 망쳤어)"라고 한다. 내가 아무 말도 못하자 곧 "No, you got the top score. Don't worry about the grade (아니, 너가 최고 점수를 받았어. 성적 걱정은 안 해도 돼.)"라고 했다. 중간, 기말 모두 최고점였다. 전화를 끊고 그동안 쌓였던 불안과 걱정이 한 번에 탁 풀리면서 쓸쓸한 기숙사 방에서 혼자 울었다. 남들이 보면 오바같지만 그때는 정말 한국에서 재수까지 하며 대학 실패한 것이 너무나 큰 한이 됐기 때문에 첫 학기를 잘 마치고 나서야 그 응어리가 풀렸던 거 같다. (게다가 그 학기에 아버지께서 암 판정을 받으시고 항암치료 중이셔서 부모님 생각과 겹치면서 눈물이 왈칵 났던 거 같다.) 거의 1년 동안 가슴에 품고 다녔던 응어리였다.

그 이후 자신감을 얻어 한국 고등학교에서 물리를 하지 않았음에도 미국 대학에서 공대필수인 물리 1, 2, 3을, 전공 필수/교양으로 들은 공대역학(engineering mechanics), 공대물리 (engineering physics) 등 물리관련 과목을 다 A를 맞았다. 물리 전공과목은 당연히 내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웠겠지만 공대생이 들어야 했던 물리는 너무 재밌고 쉬웠다. 대학 입학 전 여름방학 때 물리를 조금 준비했던 것이 이렇게 큰 효과를 가져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미국 대학 지원자들은 한창 원서 준비 중이다. 이 학생들 너무 바쁘고 힘든데, 원서 넣고나서, 그리고 내년에 고등학교 졸업하고 나서 해방감에 대학 가기 전에 실컷 놀 거다. 그 마음을 이해하지만 사실 걱정도 된다. 미국 대학은 합격이 끝이 아닌데. 그때부터 본 게임인데. 특히나 영어 독해와 작문이 제대로 준비 안 된 많은 한국 지원자들은 쉽지가 않을텐데.

영어가 조금 부족한 한 학생의 에세이를 읽다보니 많은 생각이 났다.

2018. 10. 16.

에세이에 유학 경험 쓰면 안 된다고??

좀 늦게 (고2) 유학을 간 학생의 미국대학 에세이를 도와주고 있는데, 인생에서 가장 중요했던 경험을 쓰라고 했더니, 역시나 유학가서 적응하는데 힘들었던 얘기를 썼다. 국제학생들이 쓰는 너무나 흔한 소재. 그래서 이렇게 쓰면 안 된다는 게 이 업계의 불문율. 그래서 보통 학생이 이런 얘기를 쓰면 에세이 컨설턴트는 다른 걸 쓰라고 거의 강요하다시피 한다.

그런데, 다른일이 유학보다 더 큰 경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건 생각을 안 하는 거 같다. 한국에서 별 특이한 일 없이 곱게 자라다가 유학을 간 케이스가 대부분인 우리나라 학생은 유학 자체가 제일 힘들고 의미있는 경험일 수가 있다. 만약 이게 사실이면, 이걸 그냥 쓰면 된다. 이렇게 쓰면 무슨 큰일이 나는 줄 아는데, 꼭 그런 건 아니다. 대신, 유학의 어려웠던 점에 대해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하지 (경험의 해석) 유학의 어려웠던 점을 쓰는 것 자체가 절대 위험한 게 아니다. 미국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내용 뒤의 아이의 해석을 보고 싶어하는 거지 내용 자체를 보고자 하는 게 아니다.

또 하나의 불문율, 절대 봉사활동 가서 느꼈던 점 쓰지 마라. 아니, 써도 된다. 봉사활동 가서 "내가 얼마나 복받은 놈이고, 엄마 아빠가 얼마나 감사한지 느꼈고, 이제부터는 불우한 환경의 사람들을 도우며 살기로 결심했다"라고 쓰는 게 문제지 (왜냐하면 90%의 아이들이 이렇게 쓰니까. 실제로). 봉사활동에 대해서 쓰면 안 되는 게 아니다. 역시 어떻게 쓰냐의 문제.

"선생님, 저 유학왔을 때 힘들었던 얘기 쓰면 안 된다고 엄마가 어디서 들으셨대요. 그래서 다시 쓰라고 하시는데 저 다른 걸로 쓰면 안 되요?"

"네 인생에 있어서 이것보다 더 큰 사건이 있었니?"

"아뇨, 딱히. 그래도 이건 너무 흔한 얘기라 다른 거 써야 될 거 같다고 하셔서."

"괜찮아. 그냥 써. 억지로 다른 거 쓰려고 하면 그것도 이상해져. 대신 솔직하게 자세히 써."

거창한 게 없는데 거창한 걸 쓰려고 하면 초라한 에세이가 된다.

2018. 10. 9.

학생들한테 읽히는 아티클이 SAT 시험문제에 나오다.





내가 학생들한테 독해력을 위해 늘 읽으라고 하는 사설이 몇개 있는데, 그 중에 뉴욕타임즈 칼럼니스트 프랭크 브루니의 “Read, Kids, Read (얘들아, 제발 좀 읽어)”라는 칼럼이(위) 미국 수능시험인 SAT의 에세이 문제 지문으로 나왔다고 (아래) 과거 학생이 알려줬다. 


이런 non-fiction을 꾸준히 읽으면 독해력 뿐만 아니라 SAT에 시험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아티클 원문 링크: Read, Kids, Read)



2018. 8. 22.

SAT/ACT 점수 환산표

SAT Total Score RangeACT Composite Score
1030-105020
1060-109021
1100-112022
1130-115023
1160-119024
1200–122025
1230–125026
1260–129027
1300–132028
1330–135029
1360–138030
1390–141031
1420–144032
1450–148033
1490–152034
1530–156035
1570–160036

2018. 7. 9.

비판적 사고력 수업

약 4년 전, 동남아의 국제학교를 다니다가 미국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내가 출강하던 학원에서 SAT를 배운 학생이 있었다. 영어실력이 정말 최악였다. 공부에 관심도 없고. 내 SAT수업방식이 마음에 안 들었던 학원 원장이 이 아이 대학컨설팅을 어느 사기 컨설턴트한테 모르고 맡겼다. 우여곡절 끝에 미국 서부의 주립대에 겨우 합격했다. 컨설팅 비용을 3천만원씩이나 들여서 원서만 내면 붙을 수 있는 주립대에 붙었다. 이게 현실이다.

아무튼, 그 학생이 본인 영어실력을 빤히 알기에, 아무리 수준 낮은 주립대학이어도 자기 실력으로 가서 공부를 제대로 할 수 있을까 고민 끝에 나를 찾아왔다. 어떻게 하면 좋겠냐고. 내가 시키는 것만 하라고 했다. 그랬더니 그렇게 하겠다고.

그때부터 두 달동안 힘든 영어 공부를 시켰다. 중간 중간 힘들다고 이런저런 핑계를 대며 수업을 빠진 적도 있고. 아무튼 그 해 여름 힘들게 공부를 마치고 미국으로 갔다. 그때 했던 아티클 중에 하나가 아래 아티클: "빈부격차가 사회에 미치는 악영향 4가지."

그 다음 해 여름방학 때, 강남역에서 곱창 사주겠다며 나를 찾아왔다. 그때 해준 얘기가, 신입생 2, 300명이 듣는 미시경제학을 수강했는데, 학기말 페이퍼에 아래 아티클에서 읽었던 내용을 인용하여 자기 생각을 적었다고 한다. 그랬더니 교수가 강의시간에 학생 전체에게 페이퍼는 이렇게 써야 한다며 자기가 쓴 걸 보여줬다고 한다.

"선생님, 저도 이런 날이 있네요 ㅋㅋㅋ"

물론 학점은 A를 받았고.

The 4 biggest reasons why inequality is bad for society


수영장과 바다 (영어리딩에 대해)

학생들에게 SAT나 GMAT의 리딩을 시켜보면, 영어를 잘하는 친구도 정말 글을 깊게 분석을 해본 경험이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래서 그런 학생에게 지문 한 개를 몇시간에 걸쳐서라도 깊게 분석하는 연습을 시킨다. 그렇게 하고 나면, 지문의 내용이 처음 문제 풀며 읽었을 때와는 전혀 새로운 내용으로 다가온다는 걸 학생은 느낀다. 그리고 문제를 풀면 왜 정답이 정답이고 오답이 오답인지 너무나 뚜렷하게 (아이큐가 정상이기만 하면 너무나 명확하게) 알게 된다. 그 전에는 이것도 정답같고 저것도 정답같이 느낀다. 왜냐하면, 출제자들이 깊게 분석 안 한 상태의 아이가 찍을만한 보기를 내기 때문에.

그래서 지문의 깊은 분석을 하는 것이 각종 영어시험의 리딩에서 성적을 올리는 최고의 방법이다. 그런데 이렇게 안 한다. 이건 이렇게 가르치지 않는 학원만의 문제가 아니라, 영어를 배우겠다는 학생도 문제다. 왜? "이렇게 해서 언제 그 많은 문제를 푸나요?" 그치, 문제만 많이 풀면 장땡이지. 애들이 (부모도, 우리나라 교육계도) 문제풀이로 길들여져 있다.

수영장에서만 수영한 아이랑, 바다에서 수영한 아이랑 수영실력이 어떨까? 우리나라 영어교육은 모두 수영장 교육이다. 잘 짜여진 프로그램에 단계별 체계적인 과정으로 각종 비법과 전략으로 가득찬. 아~무 생각없이 수영장에서 정한 커리큘럼대로 시키는 것만 하면 된다. 정말 아이는 생각이란 걸 안 해도 된다. 그런데, 미국 대학에서 하는 영어는 바다다. 파도만 치는 게 아니라 급류도 있고 상어도 있고 폭풍도 있는 바다다. 이 바다에서는 수영실력 뿐만 아니라, 아이가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이 있어야 그때그때 문제를 헤쳐나갈 수가 있다. (미국 대학에서는 영어를 객관식으로 안 물어본다. 근데 왜 한국에서 영어를 객관식으로 배워서 미국을 가나?)

그래서 아이를 바다에 데리고 나가 바닷물에 집어넣는다. 그러면 학생도 그 엄마도 다 싫다고 한다. 맨날 바다에서 힘들게 허우적거리기만 하고 수영은 도대체 언제 배우냐고 (문제는 도대체 언제 푸냐고). 그리고는 시설 좋고, 멋진 강사샘있고, 샤워장 있고, 겨울엔 따듯하고 여름엔 시원한, 수영교본이 있고 수영문제 풀이를 할 수 있는 수영장으로 간다.

이러면 바다에 나갔을 때 익사하기 딱 좋다. 그래서 배에 물이 가득차서 구급차에 실려 다시 나한테 오는 애들이 있다. 살려달라고.

분명히 학생 어머님께 말씀드렸다. 이렇게 하면 애 죽는다고.



2018. 2. 17.

Common Application(커먼앺) 에세이는 자기 자랑하는 에세이가 아니다.

미국 고등학교를 다니는 유학생이든 국내에서 학교를 다니는 국내생이든, 미국 대학 에세이 (커먼앺 에세이)를 쓸 때 저지르는 제일 큰 오류는 바로, 이 에세이가 자신을 자랑하는 기회인 줄 알고 에세이를 쓰는 거다.

대부분의 대학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커먼 애플리케이션(Common Application)의 퍼스널에세이(personal essay)는 말 그대로 자기 인생에 있어서 자신이 어떤 사람이란 걸 잘 나타내주는 에세이를 쓰는 거다. 내가 왜 잘났고, 내가 얼마나 뛰어나고, 내가 당신의 학교를 얼마나 빛낼 인재인가를 설득하는 에세이가 절대 아니다. 그런 내용의 에세이는 학교가 따로 물어본다. "우리학교에 왜 지원했냐, 우리학교에 어떻게 기여할 거냐" 등 학교의 추가 에세이에서 따로 물어본다. 그래서 거기에다가 적절하게 자기 자랑을 하면 된다. 커먼앺의 퍼스널에세이는 그런 곳이 아니다.

이 에세이는 "넌 어떤 사람이냐?"에 대한 답을 쓰는 에세이다. 물론 7개 정도의 각각 다른 주제의 에세이 질문 중에서 하나 골라 쓰는 거지만, 결국 대학에서 알고자 하는 요지는 학생이 어떤 사람이냐, 어떤 캐릭터(character, 인격, 품성)을 가진 학생인가이다. 그러니 이런 내용을 알고자 하는 에세이에 자기가 얼마나 잘난 학생인지 자신의 업적을 나열하고, 자신의 능력을 자랑했을 때 "너는 어떤 사람이냐?"에 대한 답은 바로 이렇게 된다: "난 이렇게 잘난 사람이다." 입학사정관이 이 학생 인간적으로 마음에 들까? 

남녀가 처음으로 만나는 자리에서 각자 소개를 하는데, 상대방의 마음을 끌려고 자신의 능력이나 업적에 대한 자랑을 하면 상대방이 그 사람에 대한 인식이 어떨까? 이 사람은 자상한 사람이구나, 마음이 넓은 사람이구나, 가치관이 확실한 사람이구나, 사고가 독특한 사람이구나, 이런 느낌이 들까? "쳇, 재수없어." 이럴 수 있지 않을까? 그런데 대부분의 학생은 어떻게 하면 자기가 다른 경쟁자보다 더 잘났다고 보여질 수 있을까만을 고민하면서 쓴다. 학생과 부모만 그런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고,  학생을 도와주는 학교 선생이나 개인 컨설턴트나 학원에서도 그렇게 유도한다.

커먼앺의 퍼스널 에세이는 절대 자기가 얼마나 잘났는지 자랑하는 에세이가 아니다. 자신에 대해 잘 알 수 있게 재미있고, 독특하고, 진솔한 얘기를 써야 한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할까 고민을 해야 한다. 그래서 글쓰는 능력이나 업적보다 창의력을 제일 필요로 한다.